대상포진 초기증상 가려움증 동반한다면? 대상포진 위치 걸리는 이유
목차
어렸을 때 수두를 앓았던 분은 평생동안 수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수두에 한 번 걸리게 되면 이후 척수후근신경절 혹은 삼차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다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해요. 이렇게 잠들어있던 수두바이러스가 다시 깨어나며 신경분포를 따라 수포 및 통증을 발생시키는 것을 <대상포진>이라 부릅니다.
대상포진 걸리는 이유
대상포진 걸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 입니다.
하지만 가장 큰 요인으로는 면역력 저하를 꼽을 수 있는데 이 때문에 비교적 면역력이 약한 고령자들에게 자주 발생하곤 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젊은층에서도 많이 발생하곤 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력 저하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 20~30대에서도 대상포진이 자주 발병하게 되는데요.
저 역시 작년 한 해동안 두 번의 대상포진을 앓았고, 최근엔 남편이 대상포진에 걸려 치료를 받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데 인터넷을 찾아보니 사람마다 나타나는 대상포진 초기증상이 천차만별이더라고요.
대상포진 초기증상
대상포진 초기증상은 사람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나지만,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몇 가지 증상이 있습니다.
근육통, 오열, 오한 두통등 마치 감기나 독감에 걸린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감기몸살로 오해하여 병원 방문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오한증상까지 더해지니 감기에 걸렸다 착각하기 쉽죠.
가장 큰 특징인 감기몸살 증상과 함께 피부 발진이나 띠 모양의 수포가 생긴다는 점입니다. 초반에는 두드러기처럼 보이기도 하나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띠 모양의 형태로 발진이 계속 늘어나게 됩니다.
한 가지 특징은 띠 모양, 직선 모양으로 생기는 건데 이 역시 사람마다 차이는 있습니다.
초기증상 예1)
저는 오한, 감기몸살 기운은 있었지만 가장 흔한 증상인 발진이나 수포는 전혀 올라오지 않았습니다. 오른쪽 옆구리에 마치 뾰루지가 난 것처럼 아주 작은 발진이 딱 하나 올라왔는데 해당 부분이 콕콕 쑤시고 전기가 통하는 듯 찌릿하고, 몸살 기운이 점점 심해져 병원에 갔더니 대상포진 초기증상 맞다고 하더라고요.
인터넷을 찾아보면 보통 띠 모양의 수포가 올라오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수포가 많이 올라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아니 증상이 있으면 무조건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증상 예2)
마치 벌레에 물린 것처럼 빨갛게 아주 작은 발진이 생겼습니다. 피부 발진으로 오해하여 상비해 놓은 피부연고를 바르니, 다음 날 괜찮아졌는데 저녁부터 다시 발진이 부어오르기 시작했습니다.
한 가지 특징은 콕콕 쑤시거나 찌릿한 느낌 없이 피부 발진 부위가 가렵다는 점이었습니다. 전혀 증상이 없었기에 피부 연고만 계속 바르다가 3일 정도 지나니 띠 모양의 수포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처음엔 내과로 방문했다가 발진이 호전되지 않고 점점 심하게 퍼져 신경과에서 처방 받은 약과 연고를 꾸준이 먹고 발랐는데 다 나을 때까지 특별한 통증이 없었고 가려움만 동반되었습니다.
대상포진 통증은 무척 심하기 때문에 통증이 없는 건 정말 행운이라는 말씀을 의사선생님께서 하셨는데요. 저는 대상포진 초기부터 다 나을 때까지 옆구리가 계속 찌릿거리고 (마치 전기가 찌릿찌릿 통하는 것처럼) 콕콕 쑤시고, 너무 고통스러웠어요. 하지만 남편의 경우 통증 없이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만 생긴게 정말 신기하더라고요.
물론 저도 수포가 안 생겨서 신기하다고 했지만요.
이처럼 대상포진 초기증상은 사람마다 모두 다를 수 있으니 약간의 이심이라도 생긴다면 바로 병원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칫 치료가 늦어질 경우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악화될 수 있고, 이러한 신경통이 발생하면 치료가 더욱 힘들어지며 심한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할 수 없거든요.
대상포진 가려움증 동반한다면?
대상포진 가려움증을 함께 동반한다면 병원 치료 시 의사선생님께 따로 말씀을 드려야 합니다. 처음 내과 진료 시 항바이러스제 및 진통제 등의 내복약만 처방 받았는데 이후 수포가 심해져 신경과를 가니 가려움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연고를 따로 처방해 주더라고요.
또 가렵다고 해서 발진 부위를 긁거나 손을 대서는 안 됩니다.
대상포진 위치
대상포진 위치는 일반적으로 몸의 한 편에 띠 모양으로 생기고, 안면 부위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척수 신경이 위치하는 피부 분절을 따라 통증 및 수포가 생기며 대부분 몸 한쪽에만 발생해요.
척수 위치에 따라 대상포진 위치가 다른데 경추 신경에 바이러스가 나타날 경우 목, 어깨에 대상포진이 생기고 흉추 신경에 생길 경우 등, 가슴 부위에 발생하게 됩니다. 요추 신경에 발생한다면 허벅지, 다리, 발 부위에 생기며 천추 신경이라면 엉덩이와 생식기 쪽에 발생합니다.
대상포진 치료방법
대상포진 치료방법 중 가장 중요한 건 3일(72시간) 내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3일이 골든타임이라고 말하는데 발진 및 수포가 나타난 뒤 72시간 내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거나 주입 시 통증이 줄어들고 피부 질환 역시 좋아집니다.
예방접종을 하는 방법도 있는데 대상포진이 생길만한 상황 혹은 본인 의사에 따라 접종할 수 있고, 60세 이상의 경우 평생 한 번 주사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이미 대상포진에 걸렸던 분들은 최소 6개월~12개월 이후 접종을 권한다고 합니다.
대상포진 병원
발병 부위에 따라 방문해야 하는 병원이 다릅니다. 눈 및 귀에 발병했을 땐 이비인후과, 항문이나 생식기는 비뇨기과, 전신에는 감염내과 및 신경과 등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상 이상의 큰 고통을 안기는 대상포진! 골든타임 내 병원에 가서 조속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